모바일 메뉴 닫기
 

아시아 최고 의공학 분야의 메카
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의공학부

Yonsei University Division of Biomedical Engineering

아시아권에서 최초로 1979년에 개설된 연세대학교 의공학부는 강원도 원주시와 공동으로 정부로부터 원주 의료기기테크노밸리 사업을 지정받았으며 총 717억원을 유치하여 교육, 연구 및 산학협동사업을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명실공히 의공학 분야의 메카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의공학은 의학과 공학의 경계학문인 동시에 전문기술이 복합된 첨단 기술 집약 학문 분야로서 향후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이 예상됨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이미 많은 연구개발 투자를 활발히 전개하여 의공학 분야에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최근 들어 정부주도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 국책 중점 연구과제로 대학과 종합병원들도 첨단 의료장비를 자체 개발하기 위해 부설연구소와 의공학과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자체내에서도 세계 100대 대학 안에 진입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희소학인 동시에 첨단학인 의공학부를 적극 육성하기로 하는 등 의공학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다양한 첨단 공학 기술을 의학에 적용함으로 질병 예방 & 삶의 질 향상

의공학은 다양한 첨단 공학 기술을 의학에 적용하는 공학과 의학의 융합 분야로 의료기기 개발에 관련된 교육/연구를 통하여 인체의 질병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과 해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기위한 필요성에서 출발한 학문입니다.
교과과정은 의료시스템전공 및 바이오 융합 전공 2개 트랙을 개설하여 학문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교과목은 의학기초(해부학, 생리학)과목들과 공학적 방법론을 의학에 적용하기위해 수학, 의용전자/계측공학, 의광학, 재활공학, 생체역학, 의료영상학, 생명공학, 의료정보학, 생체신호처리, 통계학 등의 자연과학 및 공학 관련 과목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학부 교육과 연계된 대학원 중심의 첨단 연구 분야는 의용계측/전자공학, 의광학, 의료영상처리, 원격의료진료, 재활공학, 생체역학, 뇌신경공학, 나노바이오센서, 초음파공학, 한의공학, 나노의학, 세포조직공학 기반의 질병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을 위한 학문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전공소개

의공학전공
의공학전공은 다양한 공학적 연구 방법론을 의학 및 생명공학에 적용하여 질병의 진단 및 치료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인체에 대한 공학적 분석과 해석 및 의료기기설계 등의 제반기술을 다루는 공학 중심의 전공 입니다.
향후 복지사회의 도래와 함께 높은 의료서비스 및 첨단의료기기에 대한 수요증대가 예측되므로 이 분야에 대한 전망은 매우 밝다 할 수 있습니다.
의료시스템 연구분야로는 의용계측/제어, 의광학, 의료영상처리, 생체신호처리, 원격의료진료, 재활공학, 생체역학, 나노바이오센서, 초음파 치료, 한의공학 등이 있습니다. 졸업 후 의공학 분야의 국내외 대학원 진학, 의료기기 관련 기업, 정부기관 및 병원에 취업을 하고자 하는 학생의 의공학 교육을 목표로 합니다.
바이오공학전공
바이오공학전공은 인간 건강의 증진을 목표로 생명체와 생명현상을 생명공학, 기계공학, 전자공학 등의 공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정량화함으로써 의생명공학적 신기술 및 치료법을 개발하는 학문분야입니다.
이를 위하여 바이오공학전공 핵심 교과목에서 유전자에서 장기까지 생명체에 대한 지식, 공학적인 지식, 생명현상의 정량적 규명에 필요한 생물학적, 공학적 연구기법, 연구 현황 분석 및 연구 발표 능력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교육하고 있습니다.
졸업 후 의생명공학 분야 대학원 진학과 취업 뿐만이 아니라 사회/경제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의 공학적 분석력 습득을 위한 교육을 목표로 합니다.

졸업 후 진로

졸업 후 진로는 국내외 의공학 관련 대학원, 의료관련 연구기관 및 정부기관, 의료기기 개발 및 의료기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대기업 및 전문 의료기업체, 병원, 전자, 전기 및 컴퓨터 관련 기업 등의 산업계로 취업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 전기, 전자 회사로 취업이 감소한 반면, 삼성이나 LG등의 유수 의료기기 기업의 연구소나 삼성의료원 등의 병원으로 많이 진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의공학부만의 전문성을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더욱이, 정부에서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의료기기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재정 및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는 등 의공학 전문 인력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볼 때 향후 의공학과의 장래 전망을 매우 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참조: https://bme.yonsei.ac.kr )